매달 월급 받는 날이면 나가는 건강보험료, 가끔 “왜 이렇게 많이 나가지?” 하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나도 모르게 더 납부해버린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이란?

먼저 건강보험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따른 의료보험료 입니다.

환급금이 발생하는 이유는 건강보험료를 착오 또는 이중 납부했거나 자격의 소급 상실 등으로 반환 받아야 할 금액이 생긴 경우 때문입니다.

본인부담 상환제

많은 의료비로 가계 부담을 덜기 위해 가입자가 부담한 1년간의 건강보험 본인 일부부담금 총액이 상환액을 초과할 때 초과액을 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단, 비급여, 전액본인 부담, 선별급여, 임플란트, 2~3인실 상급병실료, 추나요법 등은 환급 예외 대상입니다.)

사전급여

같은 요양기관에서 연간 본인부담금 총액이 최대 상환액(23년 기준 780만원)을 초과 시 초과 금액은 환자에게 받지 않고 요양기관이 공단에 직접 청구하는 것입니다.

사후환급

연간 본인부담 총액이 개인 상한액을 넘으며, 사전급여를 받지 않았을 때 초과액을 본인에게 직접 지급하는 것입니다.

 

환급금 기준

환급금은 본인의 건강보험료 분위 기준에 따라 상환액이 달라집니다. 매달 내는 보험료의 금액을 확인 하신 후 아래 표에서 몇분위인지 체크 하시기 바랍니다.

나만 못 받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간편 확인하기

소득분위별 상환액

소득분위 요양병원 120일 입원 시 그 외
1 134만원 87만원
2,3 168만원 108만원
4,5 227만원 162만원
6,7 375만원 303만원
8 538만원 414만원
9 646만원 497만원
10 1014만원 780만원

위의 표에서 본인의 소득분위 구간별 금액보다 돈을 더 냈다면 그만 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일이 체크 하기 어려운 분들도 많아 공단 홈페이지에서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를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네이버에 국민건강보험 검색 후 홈페이지를 열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먼저 간편인증 또는 공동·금융인증서로 로그인 하시기 바랍니다.

로그인 후 빨간 테두리 표시 부분의 환급금 조회/신청을 클릭 합니다.

나만 못 받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간편 확인하기

저는 환급 받을 금액이 없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만약 받으실 금액이 있으신 분들은 각 항목별 선택 후 아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신청 후 7일 이내 계좌이체 방식으로 환급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병원에 많이 다니시며 나도 모르는 환급금이 궁금하신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